logo

[광주]2025우수 평생학습…

창의적이고 우수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발굴․지원을 통해 평생학습 문화를 활성화하고자「우수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의 보…

2025년 대학 중심의 평생…

2025년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온라인 공개강좌 활성화 사업 기본계획을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파일 참고바랍니다:)…

[공고] 2025년 서울 동…

[공고] 2025년 서울 동행 인문학 지원사업 공고(~3/28 17시까지) 1.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공고 제2025-01…

[경기도]2025년 장애인 …

1. 공모개요 □ 공모사업 : 2025년 장애인 평생교육 우수 프로그램 지원 사업 공모 □ 공모기간 : 2025. 3.…

[광주광역시]2025년 (재…

(재)광주인재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장애를 갖고 있는 광주시민들의 평생교육 기회 확대 및 사회통합을 위해 장애 유형별 맞춤형 프…

[모집] 2025년 서울시민…

「2025년 서울시민대학 시민커뮤니티 운영 사업」 참여자 모집 1. 모집일정 : 2025. 3. 24.(월) ~ 3. 31.…

회원로그인


자료실
 

한국의 교육지표 (2023) - 요약 및 평생교육사 입장에서의 분석


교육부 홈페이지에 등록된 한국의 교육지표(2023) 현황입니다.

요약 및 분석

[한국 학생들의 교과 정의적 특성 및 학업 성취도]

1. 국어, 수학,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 학생들의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이 학업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
    • 고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의 각 교과별 정의적 특성에 따라 성취도 차이 발생

2. 2022년 정의적 특성 비율
    ■ 중학교 학생 기준
        • 국어: 자신감 43.1%, 흥미 45.6%, 학습의욕 68.9%
        • 수학: 자신감 41.1%, 흥미 47.0%, 학습의욕 50.7%
        • 영어: 자신감 45.4%, 흥미 45.4%, 학습의욕 71.4%
    ■ 고등학교 학생 기준
        • 국어: 자신감 42.3%, 흥미 36.8%, 학습의욕 69.1%
        • 수학: 자신감 32.2%, 흥미 40.7%, 학습의욕 47.9%
        • 영어: 자신감 43.8%, 흥미 46.9%, 학습의욕 67.5%

3. 학업 성취와의 연관성
    • 정의적 특성이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도 높은 경향
    • 자신감과 흥미가 높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미달 비율에서 벗어나 보통학력 이상 유지
    • 수학에서 정의적 특성 비율이 낮아, 교육적 지원과 흥미 유발 프로그램 강화 필요

4.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
    • 대도시 학생이 읍 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도
    •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신감과 학습의욕이 높은 경향
    • 국어에서는 대도시와 읍 면 간 성취도 차이가 적지만, 수학과 영어에서는 차이가 크게 나타남

<개선 방향>
    • 수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정의적 특성을 높이는 교육적 접근 필요
    • 읍 면 지역과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
    • 교과 흥미와 자신감 제고가 학업 성취 향상에 중요하므로, 각 교과별 특성화된 지원 방안 강조

[평생교육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2023 한국 교육지표 주요 정보]

1. 성인 비문해율과 교육 필요성
    • 한국 성인의 문해 능력 개선 추세
    • 문해 수준 1 이하 성인 비율 존재: 비 문해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설계 필요
    • 평생교육사 역할: 성인 문해 교육을 통한 기본 문해 능력 향상 지원​

2. ICT 역량 및 태도
    • 한국 성인의 ICT 활용 능력 평균 이상 (OECD 주요국 대비)
    • 일부 연령층 및 소외 계층의 낮은 ICT 활용도
    • 평생교육사 역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

3.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률
    • 고등교육 이수율: 한국이 OECD 평균보다 높음
    • 고등교육 이수 성인의 높은 고용 안정성
    • 평생교육사 역할: 학위 취득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고용 기회 확대 지원​

4. 교육 수준별 고용률
    •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이 더 높음: 교육이 경제적 안정성에 기여
    • 평생교육사 역할: 고용에 유리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의 중요성 강조​

5. 성인 학습 참여 및 만족도
    •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학습 만족도
    • 학습자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성취감에 기여
    • 평생교육사 역할: 프로그램 질 개선 및 학습자 중심 교육 강화​

평생교육사 역량강화교육

문화노리터 맴버가입

MBTI 테스트하기

실시간 인기 검색어